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현재 위치
  1. 도서
  2. 종교

상품상세 정보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마곡사와 화승계보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마곡사와 화승계보
상품요약정보 임창옥(정우스님) 지음 | 432쪽 | 152×225mm | 무선 | 2023년 7월 31일 발행 | ISBN 979-11-6629-173-9
소비자가 35,000원
판매가 31,500원
국내·해외배송 국내배송
배송방법 택배
배송비 3,500원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마곡사와 화승계보 수량증가 수량감소 31500 (  )
옵션 정보
TOTAL (QUANTITY)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OLD OUT 바로 구매예약주문정기배송 신청하기
대량구매문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마곡사와 화승계보

■ 이 책은…

이 책은 2018년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산지승원’ 중 한 곳인 충남 공주시 마곡사의 역사와 문화유산, 마곡사를 기반으로 한 화승들의 근대 불화 제작 활동과 그 계보 및 그들이 창작해 온 불화 작품들의 현황을 연구 조사한 글들을 모았다. 마곡사의 가람배치 특성에서부터 유물, 그리고 마곡사를 근거지로 하여 활동한 의병장 영규 외에 김시습, 독립운동가 만공스님, 김구 등의 이야기도 전해 준다. 특히 오늘날에는 금어원을 중심으로 한국 불화의 중핵의 자리를 지켜나가고 있는 마곡사의 화승 전통과 계보를 정리하여, 세계문화유산으로서 양과 질 모든 측면에서 그 가치를 수호, 계승, 성장시키며, 나아가 불교 수행과 교화의 일환으로서, 그리고 그 결실로서의 불화의 의의와 미래상까지 이야기한다.

  • 분야 : 종교
  • 저자 : 임창옥(정우스님)
  • 발행일 : 2023년 7월 31일
  • 가격 : 35,000원
  • 페이지 : 432쪽 (두께 21mm)
  • 제책 : 무선
  • 판형 : 152×225mm
  • ISBN : 979-11-6629-173-9 (93220)

■ 출판사 서평

충남 공주 태화산의 마곡사는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통도사, 부석사, 법주사, 대흥사, 봉정사, 선암사 등 모두 7개의 사찰이 이때 함께 세계 유산이 되었다. 이들 사찰은 모두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한국의 산지 가람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완정성과 진정성’이라는 세계유산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었다.

마곡사는 9세기 후반에 선종사원으로 창건되었다. 마곡천을 사이에 두고 남원의 대웅보전과 대광보전의 석가신앙 및 화엄신앙 영역과 마곡천 건너 북원에 위치한 영산전의 선 수행 공간으로 구성되어 유구한 전통과 한국 불교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알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다. 무엇보다 다양한 불교문화유산과 특히 금호약효(1846~1928)를 필두로 한 화승과 불화가 세계문화유산 등재의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화승(金魚)을 양성하고 화맥을 오늘날까지 계승해 오면서, 불화소를 유지하고 있는 점도 특별한 뒷받침이 되었다. 거기에 더하여 이들 불교문화유산의 가치와 마곡사의 역사성 등을 구명하는 학술대회를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개최함으로써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것도 간과할 수 없는 과정들이다.

이로써 마곡사는 ‘전 인류의 풍부한 영감과 지성의 원천’으로서, 인류 발전의 중요한 유산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마곡사를 비롯한 한국의 산지 승원은 박제화 된 유물로서 보존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의 가람으로써 끊임없이 환경 및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보존과 전승의 양 측면을 겸비하고 겸전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사찰은 전통적으로 다른 종교 건축물에 비하여 특별하게 많은 종교 문화의 요소와 미술적 요소가 많은 공간이다. 그중에서도 독특한 불교미술의 정화라고 할 단청과 벽화, 탱화 등의 불교 미술은 오랜 시간 화승들을 중심으로 계승해 온 전통의 보고이다. 불화는 특히 한 사람의 개인적인 창작불이라기보다 수화승의 지도와 감독 하에 엄격한 통제를 받으며 집단적인 작업을 통해 초월의 세계를 표현해 낸 것이라는 점에서 그 문화유산의 가치를 더한다고 할 수 있다.

마곡사는 근대 불화 제작의 중심지로 불모비림(佛母碑林), 즉 화승들의 비석군이 조성되어 있고, 그곳을 중심한 다례(茶禮)가 행해지는 등 한국 불교문화의 중추적인 진원지가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마곡사는 금호약효를 스승으로 하여 계계승승으로 이어지는 제자들까지의 화맥 전승 계보를 간직하고 있어서, 다른 불화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전승사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화소’로 불리는 근대기 불화의 제작소로서 역할을 다하였고, 앞으로도 현대 화승들의 교육처로서 금어(金魚, 畵僧)들을 배출하게 될 양성소로서의 위상을 갖추고 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화승들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제작 활동에 임하는 것이 아니다. 불/보살이나 신중, 칠성, 산신, 독성 등 신앙의 대상을 형상화하는 성스러운 일을 담당한 것이다. 오늘날 ‘문화’의 의미가 더욱 더 새롭게 조명되는 시대에, 불교가 대중 교화의 의의와 가치를 불화를 통해 펼쳐 나가는 데 있어서, 화승들의 역할은 더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 책은 역대 화승들이 자기 자신의 기록을 특별히 남기지 않는 불교계의 전통 아닌 전통으로 말미암아 극히 희소한 자료 현황 가운데서도 마곡사 화승의 이야기를 일기 형식으로 남긴 금용일섭(金蓉日燮, 1900-1975)의 <연보(年譜)>를 근간으로 하고, 편린으로 남은 역대 화승들의 기록, 그리고 전국에 산재한 마곡사 출신 화승들의 작품 목록 등을 통해 재구성해 나간 마곡사 화승의 역사이자, 마곡사 소재 문화유산들의 역사 기록이다. 문화유적은 그 자체로도 가치와 의미가 있으나, 그 이력과 내력,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스토리가 생생하게 살아 있을 때 더욱 가치가 배가된다고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마곡사의 가치를 일층 드높이고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성취를 보여주고 있다.

■ 본문 중에서

● 마곡사는 충청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사찰이다. 태화산을 주산으로 한 산중사찰로, 계곡을 따라 양분되어 있는 독특한 공간구성이 특징이다. 마곡사 대광보전이 자리한 북원은 교화를, 영산전 중심의 남원은 수행을 담당하는 공간이다. 북원과 남원의 공존과 조화는 곧 선교일원론(禪敎一元論)의 사상적 의미를 지니며, 대적광전과 비로자나불의 중심적 위치를 통해 마곡사가 과거 화엄종 계통의 사찰임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마곡사는 근대 불화(佛畵) 제작의 중심지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불모비림(佛母碑林) 다례(茶禮)가 행해지는 등 한국 불교문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오고 있다. - 본문 20쪽

● 마곡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서 갖춰야 할 항목을 모두 충족하였고, 다수의 문화재를 품고 있다. 보물로 지정된 영산전, 대광보전, 오층석탑, 대웅보전, 마곡사 괘불 등이 그것이다. 특히 영산전 편액은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을 찾아 나선 세조(世祖)가 이곳에 들렀을 때 친필을 내린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런 이유로 영산전 편액에는 ‘세조대왕 어필’이라는 글이 적혀 있다. 또한 영산전이 자리한 곳은 천하의 대혈로 부르는 ‘군왕대’의 맥이 흐르는 곳이어서 입시 합격이나 승진 등의 발원을 하려는 신도들의 기도가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해마다 10월 말경 ‘군왕대제’가 열리고 있다. 마곡사의 불화와 화승의 화맥은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객관적 기반을 확보하였다. 또한 금호약효를 정점으로 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화승들의 화맥을 마곡사에 전하고 있는 불화의 화기 등을 통해 확인하고, 금호약효 - 호은정연 - 태산지정 - 진호병진으로 이어지는 근현대의 화맥에 대해 화승 진호병진의 인터뷰를 통해 증명하였다. - 본문 34쪽

● 진정성의 측면에서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은 불교의 종교 활동과 의례를 위한 유산 요소들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사용된 것에 근거를 둔다. 또한 산사의 위치 및 입지, 전통과 기술 및 사찰 관리 능력, 무형유산에 기반한다. 비록 일부 건물들의 기능은 사찰의 운영을 위해 변경되었지만, 건축적 요소들은 전통 건축 기술을 사용하는 수리 복원 원칙에 따라 세심하게 관리·유지 되고 있다. 이 불교 승원들의 종교적인 전통과 기능은 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완전성의 측면에서 7개 산사 모두는 한국 불교 산지 승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다. 산지 입지, 종교 활동과 일상생활을 위한 잘 보존된 건축물들, 불전과 선 수행을 위한 영역, 강원과 요사채가 이에 해당한다. 유산 요소들을 위협하는 외부 압력은 거의 없으며, 근대기의 대규모 변경과 소실도 없어 7개 산사들은 온전한 상태에 있다. 이 산사들은 시대에 따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의 본래 기능을 잘 유지하고 있다. - 본문 101쪽

● 마곡사는 수많은 고승 대덕들을 배출한 사찰이며,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을 역임한 김구가 출가 수행한 사찰로 고대부터 근현대까지 역사적 의미가 큰 사찰이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마곡사 경내에 종무소를 비롯한 각종 종무시설과 성보박물관 등 부속시설이 신축 또는 이건되어 가람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근래까지 경내 건축물에 대한 개보수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전통사찰로서 역사성과 본사의 역할과 기능, 신도 및 방문객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과오도 인정된다. 다행히 최근 들어 전통문화 종합도량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비계획을 마련하고 사격에 적합한 공간 활용을 진행하고 있다. - 본문 147쪽

● 현재 마곡사에서 중요하게 모시고 있는 고승들을 살펴보기 위해 조사전의 진영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론이라고 본다. 고승진영은 승려의 사제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며 사자상승(師資相承)을 중요시한 조사신앙(祖師信仰)의 면모를 보여준다. 즉, 고승진영은 스승에 대한 제자들의 존경심의 표현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남아 있는 수량도 상당하다. 그러나 남아 있는 진영의 대부분이 조선 후기 제작된 것으로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의 작품은 남아 있지 않다. 고승진영의 구체적 사례는 통일신라시대 말엽에 들어 조금 전하는데, 정우택에 의하면, “단속사 신행선사(神行禪師) 비문의 신행(神行, 704-779)진영, 쌍계사 진감선사(眞鑑禪師) 비문의 육조영(六祖影), 비로암 진공대사(眞空大師) 비문의 도의진영(道義眞影), 그리고 신라 효공왕 대 학자인 박인범(朴仁範)이 찬한 범일국사진영(梵日國師眞影)과 무한지국사진영(無旱智國師眞影)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김부식이 찬시(讚詩)를 쓴 화쟁국사진영(和靜國師眞影), 신라 말 해룡왕사의 개산조 보요선사진영(普耀先師眞影), 백계산 옥룡사 선각국사진영(先覺國師眞影), 원효대사와 진표율사의 진영이 봉안되었다고 한다. 고려시대 역시 현존작품은 없는 실정이다. 천태종의 시조인 의천의 『대각국사시문집(大覺國師詩文集)』을 통해 보면, 회화작품과 함께 진영에 대한 많은 찬시를 남기고 있어 나말려초에는 진영의 제작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 본문 162쪽

● 마곡사는 산지 가람배치이지만 마곡사가 자리 잡은 곳은 표고 150미터의 산곡(山谷) 내 평탄지(平坦地)로 그 중심을 가로질러 흘러내린 계류가 서에서 동으로 흐르다 다시 남쪽으로 향한다. 계곡 상부의 북원은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오층석탑, 대웅보전 배면에 대광보전, 측면에는 심검당과, 종무소, 요사채(최근 상당수 증축), 종각(최근) 등이 자리하고 계곡의 남쪽인 남원에는 해탈문, 천왕문, 명부전, 영산전, 흥성루, 매화당, 수선사 등이 위치하였다. 마곡사는 산사의 가람배치 중 정형화된 가람배치는 아니며 자연 지형을 이용한 산사 일탑식 가람 배치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곡사는 산지지형을 기본으로 계류인 태화천을 중심으로 남과 북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태화천을 중심으로 남쪽에는 영산전을 중심으로 한 가람이, 북쪽으로는 대광보전을 중심의 가람이 별도로 조성되어 있다. - 본문 208쪽

● 한국 불교계는 일본 불교의 세력 확장에 대항하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1902년 사사관리서(寺社管理署)를 설치하여 불교계를 스스로 관할하려 하였다. 이때에 서울의 원흥사(元興寺)를 대법산(大法山) 수사찰(首寺刹)로 두고 이하 전국의 지방 수사찰을 중법산(中法山)으로 정하였는데, 16개의 중법산 중에 충청남도에서는 마곡사가 유일하게 지정되었다. 이것은 개화기 이후 한국 불교계에서 충청남도의 대표 사찰로 마곡사를 인정하는 계기가 된다. 이후 일제의 사찰령에 의한 본산–말사 체계에서도 전국 30본산 중 마곡사가 충청남도에서 유일하게 지정되었다. 충남 유일의 본산인 마곡사는 소속 말사가 124개로 전국 30본산 가운데 가장 많은 말사를 거느려 인적·경제적인 여유를 가진 사찰이었다. - 본문 254쪽

● 현재 마곡사에는 불화를 그리는 화승들의 비를 모셔 놓은 ‘불모비림(佛母碑林)’이 있다. 이 불모비림은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오직 마곡사에만 있는 것으로, 마곡사가 화승 교육의 중심지임을 강변해 주는 것이다. 불모비림은 일섭문도회가 2000년 3월 창립총회를 열고 동년 10월 보응불모비 제막식 이후 경내 뒤편에 조성하기 시작하여 2006년 10월 금호약효, 호은정연, 금용일섭, 회응상균, 명성우일 불모비를 제막하였고 매년 불모비림다례재(불모다례제)가 개최된다. 이 다례제는 마곡사가 유네스코에 등재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이와 같이 마곡사는 근대 불화의 중심지로서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근대불교문화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 본문 322쪽

● 마곡사의 불화는 조선 후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제작된 것이 중심이다. 금호약효가 선승으로서 불립문자(不立文字)·교외별전(敎外別傳)·직지인심(直指人心)이라고 하는 선의 종지를 제자들에게 전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마곡사 화승들은 자신의 직분에만 몰두할 뿐, 여타의 이름을 드러내거나 역사를 기록하는 일 등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매우 곤혹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남아 있는 작품의 화기를 통해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화기에 확실한 조성 연대가 밝혀진 불화를 토대로 개인 혹은 공동의 유대관계나 계보가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본문 360쪽

● 사찰은 다른 종교 건축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종교적 요소와 미술적 요소가 많은 공간이다. 특히 단청과 벽화, 탱화 등의 불교 미술은 오랜 시간 이어온 화승들의 전통 계승의 산물이다. 수화승의 지도와 감독 하에 엄격한 통제를 받으며 초월의 세계를 표현해 낸 것이 바로 불화이다. 단순한 ‘그림 그리기’가 아닌 오랜 수행의 결과가 표출된 것이다. 그리고 불화 제작을 완료하면 화기를 작성하여 훗날 모범으로 삼았다. 이러한 전통은 현대에까지 오롯이 전승되고 있고, 우리는 그 화기를 통해 해당 불화를 그린 주인공들을 파악할 수 있다. 해봉석정(海峰石鼎)이 제시한 바와 같이 13곳의 불모(佛母) 양성처 중에서도 충청도 계룡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마곡사의 화승들이 가장 활발하고도 규모 있는 집단을 이루었고, 현대에까지도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마곡사가 현대 화승들의 교육처로서 역할해야 할 당위성을 입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곡사의 금어원(金魚院)은 앞으로 막중한 책임 의식을 지니고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금어 양성소로서 발전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본문 396쪽

■ 목차

  • 제1장 | 총론
  • 제2장 |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한국의 세계유산
    • 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2. 한국의 유네스코 유산
  • 제3장 |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특성
    • 1.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세계유산 선정 과정
    • 2. 세계유산 선정 기본 항목
    • 3.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특성
  • 제4장 | 마곡사의 어제와 오늘
    • 1. 마곡사의 창건과 중창
    • 2. 마곡사의 주요 전각
    • 3. 마곡사의 가람배치
    • 4. 마곡사의 한국불교사적 위치
  • 제5장 | 마곡사의 불화와 근대 화승의 기록
    • 1. 마곡사의 불화
    • 2. 화승의 계파와 금호약효의 화맥 전승
    • 3. 마곡사 근대 화승의 기록
  • 제6장 | 마곡사 불교유산의 보존관리와 과제
    • 1. 불교유산의 보존관리
    • 2. 마곡사 불교유산 보존관리와 과제
    • 3. 글을 맺으며
  • 부록
    • 1. 화승 진호병진 스님 인터뷰
    • 2. 진호병진 스님 수행 약력
    • 3. 취성원경 스님 수행 약력

■ 저자

임창옥(정우政優스님) _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 말사 공주 동불사 주지소임
중앙승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동국대대학원 불교미술사 석사 수료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20세기 초 현왕탱화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 박사 수료
법계: 사미계수지(1991), 순천송광사에서 비구계수지(2005), 서울조계사에서 종사 품수(2020)

결제 안내

고액결제의 경우 안전을 위해 카드사에서 확인전화를 드릴 수도 있습니다. 확인과정에서 도난 카드의 사용이나 타인 명의의 주문등 정상적인 주문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임의로 주문을 보류 또는 취소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은 상품 구매 대금은 PC뱅킹,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혹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입금하시면 됩니다.  
주문시 입력한 입금자명과 실제입금자의 성명이 반드시 일치하여야 하며, 7일 이내로 입금을 하셔야 하며 입금되지 않은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3,500원
  • 배송 기간 : 3일 ~ 7일
  • 배송 안내 : - 산간벽지나 도서지방은 별도의 추가금액을 지불하셔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주문하신 상품은 입금 확인후 배송해 드립니다. 다만, 상품종류에 따라서 상품의 배송이 다소 지연될 수 있습니다.

교환 안내

교환 및 반품 주소
 -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계약내용에 관한 서면을 받은 날부터 7일. 단, 그 서면을 받은 때보다 재화등의 공급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화등을 공급받거나 재화등의 공급이 시작된 날부터 7일 이내
  - 공급받으신 상품 및 용역의 내용이 표시.광고 내용과 다르거나 계약내용과 다르게 이행된 때에는 당해 재화 등을 공급받은 날 부터 3월이내, 그사실을 알게 된 날 또는 알 수 있었던 날부터 30일이내
 
교환 및 반품이 불가능한 경우
 - 이용자에게 책임 있는 사유로 재화 등이 멸실 또는 훼손된 경우(다만, 재화 등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에는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이용자의 사용 또는 일부 소비에 의하여 재화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시간의 경과에 의하여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재화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복제가 가능한 재화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 개별 주문 생산되는 재화 등 청약철회시 판매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가 예상되어 소비자의 사전 동의를 얻은 경우
  -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이 개시된 경우, (다만, 가분적 용역 또는 가분적 디지털콘텐츠로 구성된 계약의 경우 제공이 개시되지 아니한 부분은 청약철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고객님의 마음이 바뀌어 교환, 반품을 하실 경우 상품반송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색상 교환, 사이즈 교환 등 포함)

서비스 안내